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46

서울대 미대 조형연구소, 조형아카이브 2호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대 미술대학 조형연구소가 발간하는 미술,공예,디자인 분야의 학술지인 조형_아카이브 FROM_ARCHIVES 제2호가 발간되었다. 내용 구성은 인물과 사건 2PART로 나눠지고 인물부분에서는 정영목-장발평전,1946-1953, 최열-김용준의 해방공간 행장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김정락-김종영과 서울대학교, 허보윤-미술로서의 디자인:이순석의 1946-1959년 응용미술교육, 사건 부분은 김용철-도쿄미술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김형숙-국립서울대학교설치안과 미술대학, 조은정-6.25 전쟁과서울대학교 미술대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갤러리 마당’ 전시작가 공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마사회는 품격있는 말 문화 보급과 예술활동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경마공원 내 마련된 복합문화공간 ‘갤러리 마당’의 2011년 전시 작가를 공모한다. 말과 관련된 소재의 평면미술(영상 포함), 입체미술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 참신하고 실력있는 작가를 발굴, 소개하는 이번 공모에는 개인이나 단체 전시가 모두 가능하다. 30개 이상의 작품사진이 첨부된 전시계획안 등의 구비서류를 e-메일로 접수하면 심사를 거쳐 총 5개 팀을 선정하며, 선정된 작가는 2011년 4주간의 전시장 대여와 도슨트, 리플렛 등 홍보물 제작 지원 등을 받게 된다.

-헤럴드경제 2011.1.7

[미술플러스] 신진 판화·사진작가 ‘BELT 2011’ 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참신한 판화작가를 발굴해 작품들을 전시하는 ‘BELT 2011’전이 11일까지 서울 청담동 일대 갤러리 8곳에서 열린다.
BELT전은 한국판화사진진흥협회가 해마다 판화와 사진 부문에서 각 5명의 작가를 선정해 인사동과 청담동에서 번갈아 가며 여는 전시다.
올해 판화 부문에는 문제호·이승종·손해진·이승아·이지선, 사진 부문에는 이건영·이일석·이지연·홍성용·박재영이 선정됐다. (02)521-9613.

-서울 2011.1.7

동남아시아의 현대미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7일 밤 12시 10분 KBS 1TV 'TV 미술관'은 중국·인도에 이어 아시아에서 주목을 받는 동남아시아 현대미술 작품을 보여준다.

만화가 이원복 교수를 초대해 '빛의 화가'로 불렸던 15세기 프랑스 화가 '조르주 드 라 투르'의 작품 '목수 성 요셉'에 대한 이야기 들어본다.

제작진은 또 암 투병 중에도 '서울 변천사'를 기록하는 사진작가 김영수와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중계본동 104 마을을 카메라에 담았다. 예술의전당에서 열리고 있는 '프랑스 국립 베르사유 특별전'도 소개한다.

-조선일보 2011.1.7

‘서예+추상회화’의 신기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이모그래피’작가 허회태 개인전

전통 서예의 바탕 위에 현대 추상 회화의 감성을 더한 ‘이모그래피’ 작가 허회태(54)의 개인전이 오는 11일부터 2월 14일까지 서울 압구정동 윤당아트홀갤러리에서 열린다.
1995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대상 수상 작가인 그는 5살 때부터 40여년간 전통 서예를 섭렵한 뒤 2005년 이모그래피라는 새로운 예술장르를 개척해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2006년 독일 베를린에서 전시회를 열었고, 2009년 9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7개월간의 대규모 미국 순회전은 abc방송 등 현지 언론에 소개되기도 했다.
허 작가는 전시에서 이모그래피와 발광다이오드(LED)를 결합한 새로운 작품을 선보인다. 일명 ‘빛으로 빚어낸 이모그래피’로 불리는 이 작품들은 유리와 거울·석재 등의 재료에 글씨를 조각하고, 여기에 빛을 쏘아서 입체적인 시각예술을 표현했다.
수많은 하회탈을 배경으로 마치 사람이 웃고 있는 듯한 형상으로 쓴 ‘웃음’이란 글자는 미소를 자아내고, 다소곳한 소녀의 기도 모습을 거침없는 일필로 표현한 작품에선 간절함이 묻어난다. 전시에는 이모그래피 작품 21점과 LED 작품 3점, 전각 작품 52점이 선보인다. (070)7735-2277.

-서울 2011.1.7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