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46

[2013.04.17]광개토대왕 비문 변조설 제기…故 이진희 선생, 책 4000권 기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해방 후 일본으로 건너가 고대사를 연구하던 한국인 사학자의 뜻에 따라 평소 아끼던 책 4000권이 부산대에 기증됐다.


재일사학자 이진희 선생이 지난해 4월15일 향년 83세로 세상을 떠난 지 1년 만에 그의 손때가 묻은 책과 논문, 각종 자료 4000권이 부산대에 전달됐다. 기증 도서는 일제강점기에 출간된 도서를 비롯해 고대사와 왜관, 통신사 등 근세 한·일관계사 연구자료 등이다. 


1929년 부산 강서구 녹산(옛 경남 김해군 녹산면)에서 태어난 이씨는 1948년 일본으로 건너가 고대사와 근세 한·일관계사를 연구했다.


1972년 ‘광개토왕릉 비문의 수수께끼’라는 논문에서 일본의 광개토대왕릉 비문 변조설을 제기해 한·일 학계에 충격을 줬다. 그는 일본 야마토 정권이 백제와 신라를 정벌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의 허구를 파헤치기도 했다.


- 한국경제 2013.04.17

[2013.04.17]이천시, 전국 최대 도예촌 조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도자기로 이름 난 경기 이천에 전국 최대 규모의 도자예술촌이 조성된다. 16일 이천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말까지 421억 원을 들여 신둔면 고척리 이천도자산업특구 40만6978m²에 도자 제작시설을 비롯해 전시·판매·체험시설 등을 갖춘 도자예술촌을 조성키로 했다. 도자예술촌은 도자기 제작업체가 입주할 20만1000여 m²의 제작시설과 공원, 도로 등 공공시설 17만여 m², 문화·휴식지원시설 3만여 m²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도자기 제작시설 용지는 업체당 500∼4300m² 크기로 총 219필지로 나눠 분양됐다. 도예가들은 이곳에 요장(窯場)과 집을 짓고 생활하면서 도자기를 만들어 판매하게 된다. 도예촌에는 또 도자기 전시 체험 교육 놀이시설과 유스호스텔, 음식점, 온천 등을 갖춘 레저스포츠 파크, 어린이들을 위한 키즈테마시설이 들어선다.

시는 다음 달 15일 도로, 상하수도 등 1단계 공공기반시설에 대한 착공에 들어가고 10월부터 개인 공방시설에 대한 건축 허가를 내줄 방침이다.

-동아일보 2013.04.17

[2013.04.17]제주도에 둥지 튼 이왈종 화백 내달31일 서귀포 미술관 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주도에 터전을 잡은 이왈종(사진) 화백이 5월31일 서귀포에 자신의 이름을 건 ‘왈종미술관’을 개관한다.

서귀포시 동홍동 정방폭포 맞은편에 문을 여는 왈종미술관은 전체 넓이 약 992㎡(300평) 규모의 3층 건물로 백자 찻잔을 연상시킨다. 왈종미술관은 개관을 기념하는 첫 전시로 다문화가정 돕기 판화전을 연다. (064)763-3600  

 

-세계일보 2013.04.17 

[2013.04.16]‘문화도시·문화마을 포럼’ 구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박광무)은 ‘문화도시·문화마을 포럼’을 구성하고 16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효자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발족회의를 연다. 포럼위원은 황순우 바인건축사무소 대표이사 등 기획위원 3명과 라도삼 서울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 연구위원·이영범 경기대 건축전문대학원 교수 등 위원 9명, 김남규 전주시의회 시의원·이재운(역사문화콘텐츠학) 전주대 교수 등 지역위원 9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됐다.


포럼에서는 박근혜정부 국정과제인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도시·문화마을 조성 및 지역 문화 격차 해소’ 추진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주 역사문화도시 등의 추진 현황 공유를 통해 문화도시 정책방향을 재정립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전주포럼(30일, 2차 포럼)과 경주포럼(5월 28일, 3차 포럼) 및 공주·부여포럼(6월 18일, 4차 포럼) 등이 이어진다.


- 문화일보 2013.04.16

[2013.04.16]27일 디지털디자인 학술대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단법인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회장 장호현)는 27일 부산 동명대에서 '2013 베스트디지털디자이너 국제 초청 정기전ㆍ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세계 23개국 273명의 디자인 작품과 320여명의 국내 디자인 학자와 전문가가 참석, '공존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Coexistence)'을 주제로 디자인의 학술ㆍ산업적 가치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 행사에는 디자이너 김영세(사진 왼쪽) 이노디자인 회장, 김재명(오른쪽) 경성대 교수의 기조강연이 이뤄진다. 김 회장은 '디지털 디자인 드림(Digital Design Dream)'라는 주제의 첫 번째 기조강연을 통해 디자인의 문화적ㆍ산업적 가치를 역설할 예정이다. 또한 2010년까지 부산디자인센터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디자인산업 발전을 이끌었고 현재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의 심사위원으로 있는 김재명 교수가 '디자이너지(Designergy:Design+Energy)'라는 주제로 두 번째 기조강연을 할 예정이다.

 

-서울경제 2013.04.16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