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큐레이터 열전
김준기 / 제7대 한국큐레이터협회장
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2999
전시기획자 김준기(b.1968)는 부산시립미술관(2007-2010)을 거쳐 2010년부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다. 석남미술상 젊은이론가상(2007)을 수상하였고 '공공영역에서의 예술적 실천과 새로운 공공미술' 등의 글을 썼다.
56 건
-
- (56)황성림, 예술이 작동하는 방식을 찾아서
- [2025-11-01] 김준기 [4]
- 황성림은 대구미술관 큐레이터로 시작했다. 수년간의 준비를 거쳐 2011년에 개관한 대구미술관은 탄탄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하고, 소장품과 전시 등 사업에서도 안정감 있게 출발했다. 그는 창작스튜디...
-
- (55)엄선미, 평화예술을 향하여
- [2025-10-01] 김준기 [272]
- “내 아버지의 그림에는 피가 묻었다.” 국민화가 박수근의 아들인 화가 박성남으로부터 이 얘기를 들은 나는 크게 놀랐다. 서민의 평온한 일상을 담은 그림에 피가 묻어 있다니! 그러나 놀랄 일이 아니...
-
- (54)한주연, 배움과 나눔의 뮤지엄을 향하여
- [2025-09-01] 김준기 [563]
- 한주연은 1990년대 후반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로 출발했다. 새로운 미술관 문화를 통해 미술계를 학습하던 그는 삼성문화재단으로 옮겨 에듀케이터로 오랜 시간 활동하면서 미술관 문화 전반의 정책과 ...
-
-
- (52)홍윤리, 논문 쓰는 큐레이터
- [2025-07-01] 김준기 [857]
- 홍윤리 큐레이터와 전시기획자는 다르다. 이 문장이 미술계에 제 자리를 잡기까지 짧지 않은 세월이 필요했다. 어쩌면 홍윤리의 미술관 생활 25년과 비슷한 시간일 것이다. 홍윤리는 미술관의 학예연구...
-
- (51)김이삭, 사회참여 활동가의 너른 길
- [2025-06-01] 김준기 [715]
- 김이삭 ‘사회참여 활동가’를 자임하는 김이삭은 큐레이터와 에듀케이터, 디렉터 정체성을 한 몸에 지닌 독창적인 뮤지움 종사자다. 그는 예술교육의 공공성에 주목하여 교육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
-
- (50)박남희, 이론과 실천의 지평 위에서
- [2025-05-01] 김준기 [767]
- 박남희 ‘예술이라는 구체적인 사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예술학’을 전공한 박남희는 자신의 학문적 토대를 세 영역으로 풀어낸다. 현장 비평가와 큐레이터, 미술관장이라는 그의 사회적 위치는 연구...
-
- (49)박순영, 삶 속에 스며드는 예술을 향하여
- [2025-04-01] 김준기 [1398]
- 박순영 박순영은 2010년부터 딱 10년간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로서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를 전담했다. 그는 레지던시 프로그래머 업무를 맡아 입주예술인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입...
-
- (48)이동국, 전통문화와 현대예술 사이에 선 큐레이터
- [2025-03-01] 김준기 [990]
- 이동국 경기도박물관장 이동국은 긴 세월동안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큐레이터쉽으로 한국 서예의 역사를 갈무리해왔다. 1988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개관 이후 2023년까지 30여 년에 걸쳐 그...
-
- (47)신용철, 역사와 현실을 가로지르는 큐레이터
- [2025-02-01] 김준기 [1302]
- ⓒ 제공 신용철 신용철은 부산에서 나고 자란 부산 토박이다. 청년 시절 국문학을 전공한 그는 마당극 연희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우물을 깊게 파려면 넓게 파야한다’는 김열규 선생의 가르침을 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