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46

[2013.10.28]문신미술관 30일 재개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이 3개월간의 리모델링을 끝내고 오는 30일 다시 문을 연다고 밝혔다.

문신미술관은 지난 7월부터 임시휴관에 들어갔다.

낡은 전시관 내부와 수장고 등을 리모델링하고 사회교육관을 신축했다.

오는 30일 오후 4시 30분에 리모델링 준공 개관식을 한다.

리모델링 준공을 기념해 30일부터 12월 22일까지 미술관 내 문신원형미술관 제1전시실에서 기획전시회를 연다. 문신의 작품이 그려진 백자 도자기를 전시하는 ‘문신도화-백자에 흐르는 드로잉 세계’ 전시회와 제11회 문신미술상 수상작가인 김재관 초대전을 한다.

문신미술관은 마산만이 내려다보이는 마산합포구 추산동 언덕에 1994년 세워졌다.

유럽에서 활동하던 창원출신 세계적인 미술가 문신이 귀국해 미술관을 건립했다.

“고향에 미술관을 바치고 싶다”는 유언에 따라 2003년 유족이 시에 미술관을 기증했다.

문신 작가의 조각, 석고원형, 유화, 드로잉, 유품 등 39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 경남일보 2013.10.28

[2013.10.25]英 조각가 앤서니 카로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 앤서니 카로가 24일 심장마비로 타계했다. 89세.


BBC방송에 따르면 녹슨 철판, 철골을 이용한 작품으로 유명한 카로는 지난 6월 개인전을 개최하는 등 최근까지도 100세까지 작품활동을 계속하겠다며 창작열을 불태웠다. 그는 건축과 조각의 경계를 넘나들며 작품과 설치공간의 구분을 없애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5년 녹슨 철판을 쓴 작품 ‘툰드라’로 명성을 얻었고, 1987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영국 왕실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기도 했다.


- 서울신문 2013.10.25


[2013.10.24]박수근 화백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창립총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 근대미술의 대표적 서양화가인 박수근(1914∼1965년) 화백의 탄생 100주년을 앞두고 박 화백의 예술혼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선양사업이 펼쳐진다.


24일 강원 양구군 양구읍 정림리에 위치한 ‘박수근 미술관’에 따르면 25일 오후 4시 미술관에서 박 화백 탄생 100주년을 기리는 기념사업위원회 창립총회 및 후원의 날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창립되는 기념사업위는 이사 위촉식과 기념사업 선포식을 갖고 2014년 탄생 100주년 기념식과 49주기 추모식, 특별전, 기념 도록 발간, 학술심포지엄 개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 문화일보 2013.10.24

[2013.10.24]광개토대왕비 등 서체 복원… 국보-보물급 서예 법첩 만든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태광그룹이 창립 63주년(25일)을 기념해 예술의전당과 손잡고 우리나라 국보·보물급 서체를 모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을 벌인다.


태광그룹과 예술의전당은 23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 흥국생명빌딩에서 한국 서예 국보급 법첩(法帖·옛사람의 뛰어난 필적을 익히거나 감상할 목적으로 만든 책) 발간사업 협약식(사진)을 가졌다. 문화재청이 후원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심재혁 태광산업 대표이사(부회장), 고학찬 예술의전당 사장, 변영섭 문화재청장, 김종규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태광그룹 산하 선화예술문화재단과 예술의전당은 함께 선정한 국보 및 보물급 서체 15선을 시대별, 인물별로 필적을 복원한 후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5권씩 법첩 15권을 발간할 계획이다. 15선에는 고구려 ‘광개토대왕비’, 백제 ‘목간(木簡)’, 신라 ‘진흥왕순수비’, 통일신라시대 ‘김생’과 고려시대 ‘탄연’의 필적이 포함됐다. 


- 동아일보 2013.10.24

[2013.10.24]일본식 고분 논란 하남 야산서 신석기·청동기 생활 유적 출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일본식 고분이냐, 아니냐의 논란을 빚던 경기도 하남 야산 유적의 비밀이 풀렸다.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한백문화재연구원은 미사리 야산에서 신석기·청동기시대 생활 유적과 조선시대 분묘 등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신석기시대 유적은 빗살무늬토기 파편(위 사진) 등이 나오고, 청동기시대 유적은 둥글고 넓은 생활용 항아리(아래) 등이 출토됐다. 또 초기철기시대 주거지와 조선시대 무덤도 확인됐다.


재야사학계 일각에서는 이 야산이 한성도읍기 백제가 조성한 거대한 왕릉이며, 봉분은 둥글고 사각형 단을 마련한 것으로 보아 일본 고분시대의 무덤 양식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이라는 주장을 끊임없이 제기해 왔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집과 무덤으로 사용한 ‘민둥산’으로 밝혀짐으로써 근거 없는 낭설로 드러났다.


- 국민일보 2013.10.2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