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한국미술의 현장] (111)우리 현대미술의 한 단면으로서 단색화, 평면과 입체예술의 미래 | 2015-10-01 | 
| [이 작가를 추천한다] 이 작가를 추천하다(4) 권석만 | 2009-04-00 | 
| [한국미술계의 과제] (41)비엔날레의 추억 | 2008-12-00 | 
| [한국미술계의 과제] (27)미술계의 ‘직함 해저드’ | 2007-06-00 | 
| [나의 발언] (68)예술학에의 초대, 유감과 새 과제 | 2005-05-00 | 

 
			

2010-현   서울예술대학   석좌교수
              서울예대  예술한국학연구소장
              김스시각언어과학연구소장
2005-2008   한국예술학회   회장
1998-2004   한국조형예술학회   상임고문
1997-1999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1997-1999   동아미술제   심사위원
1997-1999   중앙미술대전   심사위원
1996-1997   서울특별시 미술위원회   부위원장
1996   서울조각대전   심사위원장
1994   쌍파울로 비엔날레   커미셔너
1990-19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
1988   서울올림픽 세계현대미술제   운영위원
1987-1990   서울시립대   환경조각학과 교수
1986   ASPAC국제문화심포지움   한국대표
1984-1985   미국무부초청 방문   연구
1980-1987   강원대 사범대   미술교육과 조교수, 부교수
1975-1979   서라벌예술대학   조교수
 전 홍익대 예술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    주임교수
2006   『이미지와 시각언어:21세기 예술학의 모험』   한길아트 
2006   『눈과 정신: 한국현대미술이론』   한길아트
2002   『사유와 감성의 시대: 한국현대미술의 전개』(공저)   국립현대미술관/삶과꿈 
2001   『드로잉』(공저)   시공사
2001   『사실과 환영: 극사실 회화의 세계』   삼성미술관
2000   『홍익조각 50년사』(공저)   예맥출판사
1995   『KOREAN CONTEMPORARY ART』(공저)   한국문화예술 진흥원
1994   『미와 조형의 심리학』(역서)   조형사
1994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이해』(공저)   시공사
1994   『미와 조형의 심리학』   조형사 
1992   『한국 현대미술과 모더니즘』(공저)   시공사
1989   『모더니즘 그 이후』(공저)   예술지식사
1988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공저)   일지사
1985   『현대미술연구』   정음문화사
1985   『한국 현대미술의 형성과 비평』(공저)   미진사
1984   『전위예술이란 무엇인가』(역서)   정음문화사
1984   『토탈아트』(역서)   정음문화사
1979   『현대예술학』   창미서관
『현대미술연구』, 『눈과 정신:한국현대미술이론』, 『이미지와 시각언어:21세
기 예술학의 모험』외.
2006  「시각표현의 역사, 사회 해석의 공존과 미시기표기술이론」   『미술디자인 논문집』, 홍익대 미술디자인 공학연구소
2006  「이미지 기표계의 생성변형구조와 그 해석: 시각계열체의 만곡자질을 중심으로」(공저)  『예술학』, 꼬레알리즘
2005  「공간지각의 비선형 구조」(공저)   『예술학』, 꼬레알리즘
2004  「시표현의 통사의미부 기술연구: 예술학의 분석적 수준과 인지심리학적 기초」   『홍익대 미술디자인 논문집』, 홍익대
2001  「미술구문론의 인지심리학적 접근가능성」(공저)   『조형예술학연구』, 조형사
2000  「시공간의 통사의미론을 위한 위치수열 2차원 일반 삼각-테이블의 구성」(공저)   『조형예술학연구』, 조형사
2000  「한국 현대미술의 주지주의적 경향 : 이승조와 전국광의 분류학적 위치」(공저)   『예술논문집』,  대한민국예술원
1998  「회화적 표상에 있어서 기호와 행위의 접근가능성: 회화적 가능세계의 의미론 Ⅲ」   『弘大論叢』, 홍익대 
1997  「회화적 표상에 있어서 기호와 행위의 접근가능성: 회화적 가능세계의 의미론 Ⅱ 」   『弘大論叢』, 홍익대 
1992  「회화적 표상에 있어서 기호와 행위의 접근가능성: 회화적 가능세계의 의미론 Ⅰ」   『弘大論叢』, 홍익대 
1987  「회화적 표상에 있어서 기호와 행위의 접근가능성: N. Goodman기호론의 발전적 고찰」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2「E.Cassirer와 S.K.Langer에 있어서 象徵形式」   『人文學硏究』, 강원대
1981  「一般形態論의 定礎를 위한 몇가지 문제」   『人文學硏究』, 강원대
1980  「Dilthey에 있어서 역사적 이성의 비판과 해석」   『人文學硏究』, 강원대
1979  「한국민속무용에 나타난 상징형식에 관한 미학적 분석」  학술원
1975  「현대예술의 사회적 문맥」   『미학』, 한국미학회
1972  「미적대상과 미적체험의 근원적 통일성」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0  「현대미술의 차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한국 예술학회 
1998   한국조형예술학회
1978-1980   한국철학연구회
1975-1990   한국미술평론가협회
1972-1990   한국미학회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